|
|
Dear Readers,
Hello, and welcome to the first edition of the KLC Fall Newsletter! We hope that your week has gone well. We would like to take this moment to celebrate South Korea’s Liberation Day, which occurred on August 15th.
|
|
|
Judge Richard Y. Lee's Celebration
To celebrate Judge Richard Y. Lee’s 10th year on the bench for the Orange County Superior Court, KLC is proud to host an online celebration for this momentous event in our community. Please find the link to the flyer designed by our wonderful Research Fellow Betty Kim here.
“Asian Americans at a Crossroads During Covid-19: Allyship and the Future of Civil Rights.”
On September 15, 2020, at 5:30 p.m. CDT (3:30 p.m. PST), the University of Houston Law Center will be hosting a webinar with speaker Frank H. Wu, President of the Queens College City University of New York. Please refer to this link to RSVP.
KLC Open House
KLC is proud to announce the date for the Korea Law Center's Virtual Open House. The event is planned to take place on September 24th, 2020, from noon to 1 pm. More details are to come.
|
|
|
|
Asian American and Pacific Islanders (“AAPIs”) in Solidarity with the Black Community: Where do we go from here?
The August 14th Webinar was hosted by Orange County Asian and Pacific Islander Community Alliance (“OCAPICA”) and Shikha Bhatnagar, the Executive Director of the South Asian Network. The speakers were Christine Lee, Program Director for the Asian Pacific Community Fund; Natalie Martinez, Student Advocate at Garden Grove School District and current student at Cypress College; Vanessa Carr, LA External Affairs Coordinator for the Office of Gov. Gavin Newsom; Sarah Sulewski, Media and Communications Coordinator for the OC Protests Community Coalition; and Elizabeth Rubio, Ph.D Candidate in Anthropology at UC Irvine.
Vanessa Carr began with the background of her Filipino mother and Black father and how her multiracial family was formative for her childhood experience. She noted that despite the cultural diversity in her hometown of Silicon Valley, she was frequently the only Black individual in the room. She expressed that she was frequently seen and treated as “the other,” despite Silicon Valley's diversity, simply because she is Black. In order to continue the work to promote equality, communities of color need to unify in the struggle for racial equality.
Sarah Sulewski stated that this moment has been important in uncovering the struggles of the Black community and how it has created a space for her to navigate this space. Most importantly, she feels that she needs to be a part of this conversation, and cooperation from all BIPOC communities is important for a true liberation of the Black community.
Elizabeth Rubio noted that the author Arundhati Roy stated in the early emergence of the pandemic how this event serves as a "portal" between one world and the next. The pandemic has given our society an opportunity to reflect and envision a better world. For more reading on Arundhati Roy, please refer to this link.
Christine Lee began her discussion with her background of being the daughter of South Korean immigrants who arrived after the Civil Rights Movement. Because she arrived in the States after the Civil Rights Movement, her parents, and many others, have not confronted the race relations other Americans are aware of. As a result, she advocates for ethnic studies in order for people to better understand the complex and often intertwined histories of BIPOC communities and the fight for equality. She also advocated for the investment of BIPOC organization groups, which have been traditionally underfunded but have the vision and potential for promoting equality.
Natalie Martinez stated that she is from the Dominican Republic and that although the country is predominantly Black, there is anti-Blackness within the country. She went on to say that unity is the key to dismantling anti-black sentiments that still persist within communities. Another approach is reaching out to our fellow community members. She recounted the example of the Viet Rainbow of Orange County (VROC) and how they supported her and fellow students after the contentious events of this summer.
For further information on the webinar, please refer to the following link.
Discussion with Professor Chaihark Hahm
On August 6th, I spoke with Professor Chaihark Hahm, Professor of Law at Yonsei University and author of “Making We the People: Democratic Constitutional Founding in Postwar Japan and South Korea.”
This discussion began with South Korea's Constitution Day (July 17) which commemorates the adoption of the first constitution following Korea's liberation from Japanese colonial occupation. The conversation then evolved around the significance of the South Korean "Founding Constitution" for the current generation. Professor Hahm noted that while Constitution Day is a holiday in Korea, it is not much celebrated. Perhaps the reason is that the average South Korean citizen does not have as strong a connection with the constitution as an American citizen would have with the U.S. Constitution. Whereas the same Constitution created in 1787 is still in force in the United States (albeit with numerous amendments), the South Korean Constitution has gone through multiple revisions and total redrafts since 1948. As a result, the original Founding Constitution is seen as having been superseded by later constitutions. Professor Hahm nevertheless noted that despite the multiple revisions and attempts by drafters of later constitutions to repudiate the earlier constitutions, all South Korean Constitutions, including the current one adopted in 1987, are described in their respective preambles as a "revision" and a continuation of the original 1948 constitution. That historic act of founding a new democratic republic through constitution-making continues to operate as the source of legitimacy for later generations, even as they repeatedly changed the constitution.
For Professor Hahm, at the heart of this continuity is the commitment to establish a democratic republic. Every South Korean constitution since 1948 has proclaimed in its first article that the "Republic of Korea shall be a democratic republic." This is important because it represents the collective decision on the South Korean people to reject not only foreign subjugation but also the dynastic order that existed prior to colonization. Independence could not mean a return to monarchy or a restoration of the royal house. This commitment to found a democratic republic and the aspiration to preserve it throughout the country's turbulent history is what should be commemorated on Constitution Day. That is what rallied the Korean people through the Korean War, the coup d'etats, and the authoritarian developmental state, to finally attain economic prosperity and political liberalization.
When posed with the question of the importance of Constitution Day in modern Korea, Professor Hahm stated that rather than the celebration of a holiday, one should practice what is embodied in the Constitution—to be aware of its aspirations to be a democratic republic and to work towards its realization. He also pointed out that nowadays people are liable to forget that this takes work. Being a constitutional democracy is not something that can be taken for granted. Especially in an age when citizens are apt to fall into the pattern of tribalism, promoting one's parochial, regional, and class interests, the democratic republic established by the constitution can easily fall into disrepair. We must be reminded through education, civic participation, and political discourse that we are part of a larger enterprise that transcends party lines. Unfortunately, most political leaders appear unwilling or unable to engage in a type of discourse that might make us think that we are members of a republic that is greater than the sum of its parts. In sum, Constitution Day should be used as a reminder that as citizens, we have a role in making a democratic republic work. As Ben Franklin famously said, it is "a republic, if you can keep it."
|
|
|
Thank you very much for reading this week's edition of the newsletter! Have a wonderful week!
Sincerely,
Korea Law Center |
|
|
KLC 뉴스레터 구독자님들께,
안녕하세요! Korea Law Center 가을뉴스레터의 첫번째소식지에오신것을환영합니다! 모두들한주간잘지내셨는지요? 이기회를빌어지난 8월 15일 대한민국 75주년 광복절을축하합니다!
|
|
|
Richard Y. Lee 판사님 10주년기념행사
Orange County Superior Court에서Richard Y. Lee 판사님의 10년동안의 노고를축하드리는기념적인행사를 KLC에서온라인으로주최하게되었습니다. KLC의연구펠로우 Betty Kim이직접디자인한포스터와행사링크는이곳에서확인하실수있습니다.
KLC 오픈 하우스
KLC는 한국 법률 센터의 가상 오픈 하우스를 발표하게 된 것을 자랑스럽게 생각합니다. 이 행사는 2020 년 9 월 24 일 정오부터 오후 1 시까 지 진행될 예정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곧 알려 드리겠습니다.
“COVID-19 중 십자로에 있는 아시안계 미국인들: 동맹과 시민 평등권의 미래.“
다가오는 2020년 9월 15일오후 5:30 CDT (오후 3:30 PST)에, University of Houston Law Center에서 Queens College City University of New York의총장 Frank H. Wu님과함께온라인세미나를개최할예정입니다. 행사예약과더많은정보는이곳에서확인하실수있습니다.
|
|
|
흑인 커뮤니티와 연대한 아시아 태평양 이민자들: 앞으로 나아가야 할 길은?
오렌지 카운티 아시아 태평양 커뮤니티 연합회는 8월 14일 “흑인 커뮤니티와 연대한 아시아 태평양 이민자들: 앞으로 나아가야 할 길은?”에 대한 주제로 세미나를 주최하였습니다. 남아시아 네트워크의 이사 Shikha Bhatnagar의 진행 아래 본 세미나에는 Christine Lee (아시아 태평양 커뮤니티 기금 프로그램 디렉터), Natalie Martinez (가든그로브 교육구 학생 대표 및 Cypress College 학생), Vanessa Carr (개빈 뉴섬 주지사의 LA 지역 대외 협력 코디네이터); Sarah Sulewski (OC 시위 연대 커뮤니케이션 코디네이터) 그리고 Eliabeth Rubio (UC 얼바인 인류학과 박사 학생)가 참여하였습니다.
Vanessa Carrs님 (개빈 뉴섬 주지사의 LA 지역 대외 협력 코디네이터)은 필리핀 계 어머니와 흑인 아버지에서 태어나 다인종으로 구성된 가족에서 자란 경험이 성장하는데 있어서 큰 영향을 미쳤다고 말했습니다. 그녀의 고향 실리콘 밸리는 다양한 인종이 모여 살기로 유명하지만, 종종 그녀는 집단에서 유일한 흑인인 경우가 많았다고 말했습니다. 다문화를 인정하는 실리콘 밸리에서 그녀는 단지 흑인이란 이유로 자주 타인으로 취급 받는 경험을 했다고 합니다. 그녀는 진정한 평등을 지향하기 위해서는 유색인종 커뮤니티들이 합동하여 인종 평등을 위해서 힘써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Sarah Sulewski 님 (OC 시위 연대 커뮤니케이션 코디네이터)은 오늘 일어나는 움직임들이 흑인 커뮤니티가 지속적으로 받아왔던 억압의 실체를 드러나게 한 중요한 순간이었다고 언급하며, 그녀가 우리 사회에서 활동해야 할 영역을 확인시켜주는 계기가 되었다고 전했습니다. 그녀는 현재진행형으로 진행되고 있는 논의에 참석해야 필요성을 느꼈다고 전하며, 흑인 커뮤니티의 진정한 해방을 위해서는 모든 유색인종 커뮤니티의 참여 역시 절실하다고 말했습니다.
Elizabeth Rubio (UC 얼바인 인류학과 박사 학생)님은 코로나 바이러스 팬데믹 초반에 Arundhati Roy작가가 했던 말을 인용하며, 최근에 일어난 일련의 사건들이 오늘 우리가 살고 있는 세상과 내일 우리가 살게 될 세상의 매개가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팬데믹의 영향으로 우리의 사회를 되돌아보고 반성하며 더 좋은 미래를 기약할 수 있는 경험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Arundhati Roy작가의 글은 이곳에서 추가적으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Christine Lee (아시아 태평양 커뮤니티 기금 프로그램 디렉터)는 시민운동이 활발하던 1950-60년대에 미국으로 건너오게 된 본인의 한국계 이민 가정을 언급하며 그녀의 이야기를 시작했습니다. 그녀의 가족은 시민 운동이 활발하게 이어지던 시기 이후에 미국에 이민 왔기 때문에, 그녀의 부모님을 포함한 많은 가족 구성원들은 미국인들이 알고 있는 인종 차별 문제에 직면하지 않았다고 합니다. 유색인종 커뮤니티를 더 잘 이해하고 궁극적인 평등을 지향하기 위해서 그녀는 타민족의 문화나 역사를 학습하여 그들의 경험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또한 이런 목적 의식을 지닌 유색인종 커뮤니티 단체의 어려운 재정 상황을 꼬집으며 장기적인 투자가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Natalie Martinez 님(가든그로브 교육구 학생 대표 및 Cypress College 학생)은 본인의 출생지인 도미니카 공화국에서 대다수의 사람들이 흑인 임에도 불구하고 반흑인감정 (anti-blackness)이 존재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지속적으로 존재해왔던 반흑인감정을 사회에서 제거하기 위해서는 여러 커뮤니티가 함께 유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그녀는 말했습니다. 그녀는 여름 동안 여러 사건으로 어려움을 겪었던 시기에 오렌지카운티의 베트남 레인보우 단체 (Vietnam Rainbow of Orange County)에서 도움을 받았던 경험을 공유하며, 다른 커뮤니티 구성원에게 손을 내미는 것 역시 유대감을 형성하는 방법 중의 하나라고 이야기했습니다.
웨비나에 대한 더 많은 정보는 이곳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인터뷰: 함재학 연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진행: Sean Cho, J.D. Candidate at UC Irvine School of law and Community Fellow of Korea Law Center)
지난 8월 6일 함재학 연세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님과 인터뷰를 진행했습니다. 함 교수님은 “Making We the People: Democratic Constitutional Founding in Postwar Japan and South Korea”의 저자이십니다.
이번 인터뷰의 화제는 대한민국의 제헌절 (7월 17일), 더 나아가 현 세대에게 대한민국 헌법 제정의 역사가 어떠한 중요성을 갖는지에 대한 논의였습니다. 함 교수님은 제헌절이 한국에서 국경일이기는 하지만 그다지 중요하게 여겨지지 않는다며, 그 이유로 미국에서 미국 헌법이 일반 미국 시민에게 갖는 의미에 비해 일반 한국 국민에게 한국의 헌법이 지니는 의미가 작다는 점을 드셨습니다. 1787년 제정된 미국 헌법이 – 비록 많은 수정조항들이 생기기는 했지만 – 여전히 미국 시민들에게 큰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는 반면, 한국의 경우 초대 헌법이 1948년 이래 수많은 개정과 전면적인 수정 작업을 거쳐온 탓에 큰 조명을 받지 못하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함 교수님은 1987년 도입된 현재의 헌법을 포함, 그간 모든 한국의 헌법들이 초대 헌법의 “수정본” 이자 초대 헌법을 계승하고 있음을 각자의 전문에서 명시했다는 점을 강조하셨습니다. 초대 헌법 제정을 통해 민주공화국을 수립했다는 역사적 사실은 헌법이 제정 이후 여러 번 수정을 거친 점과는 별개로 끊임 없이 역사적 정당성의 기제로 작용해왔습니다.
함 교수님은 초대 헌법의 중요성을 대한민국의 민주공화국 수립에 대한 의지의 관점에서 강조하셨습니다. 1948년 이래 만들어진 한국의 모든 헌법은 첫 번째 조항으로 “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임을 선언했습니다. 이 같은 선언은 외세의 지배 뿐 아니라 식민시대 이전 왕정 질서를 타파하고자 하는 한국 국민들의 집단적인 의지가 반영됐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습니다. 한국의 독립은 왕정으로의 복귀를 의미할 수 없다는 의지였습니다. 이 같은 한국 국민들의 의지야 말로 제헌절에 기념돼 마땅한 것입니다. 이것이야 말로 6.25 전쟁, 쿠데타, 독재정권과 개발도상국 상태를 거쳐 마침내 경제적 그리고 정치적 자유를 이루기까지한국 국민들을 하나로 뭉치게 해준 원동력이었습니다.
오늘날 한국에서 제헌절이 지녀야 할 의미가 무엇이냐는 질문에 함 교수님은 제헌절이 공휴일이라기 보다는 민주공화국 수립에 대한 열망과 그것을 이루기 위한 그간의 노력을 되새기는 날로 여겨져야 한다고 강조하셨습니다. 함 교수님은 헌법에 근거한 민주주의 체제는 절대 당연히 주어지는 것으로 알면 안 되는 것이라고 하셨습니다. 특히 개별 시민들이 지역적, 계급적 이해관계에 매몰된 요즘 시대에 헌법을 통해 만들어진 민주공화국은 손쉽게 황폐해질 수 있습니다. 우리는 교육, 시민참여, 정치적 담론 형성을 통해 우리 모두가 정치적 색깔을 넘어 더 큰 하나의 체제의 일부임을 되새겨야 합니다. 불행히도 대부분의 정치 지도자들은 이같은 담론에 참여하기를 꺼리거나 참여할 만한 역량이 없는 듯한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요약하자면, 제헌절은 국민 모두가 민주공화국이 제대로 작동하도록 노력해야 한다는 점을 되새기게 하는 날로 기념돼야 합니다. 벤자민 프랭클린의 저명한 말마따나, “공화국은 그것을 유지할 역량이 있어야만이 존재할 수 있습니다. (It’s a republic, if you can keep it.)”
|
|
|
이번 주 뉴스레터를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좋은 한 주 보내십시오!
Korea Law Center
|
|
|
|
|
| | |
| |
|
|
|
|